난기류를 만난 싱가포르항공 여객기, 실제 급강하 고도는 50여 미터에 불과
지난 21일, 태국 방콕에 비상착륙한 싱가포르항공 여객기가 난기류를 만나 급강하했던 고도가 4.6초간 50여 미터에 불과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사고 직후, 하강 고도가 1,800미터에 달한다는 초기 보도와는 달리 실제 조사 결과는 상당히 다르게 나왔습니다.
탑승자들의 부상은 하강 고도의 수준보다는 기체가 갑자기 솟구쳤다가 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조사 결과: 급격한 중력가속도 변화
29일 현지 매체 스트레이츠타임스와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싱가포르 교통안전조사국은 비행 정보 기록장치와 조종석 음성 녹음 자료 등을 토대로 사고 관련 첫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싱가포르 교통부는 "급격한 중력가속도 변화로 안전벨트를 하지 않은 탑승자들이 공중으로 떠올랐다"고 보고서를 인용해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런던발 싱가포르행 SQ321편 보잉 777-300ER 여객기는 미얀마 상공 고도 37,000피트(11,278미터)에서 순항하던 중 오후 3시 49분 21초(싱가포르 시간)에 난기류를 만났습니다.
탑승자들은 다소 흔들리는 것을 느끼기 시작했고, 비행기는 상승하여 고도 37,362피트(11,388미터)에 도달했습니다.
이때 자동조종장치가 비행기를 설정된 순항 고도로 낮추려고 시도했고, 기장은 오후 3시 49분 32초에 안전벨트 착용 신호를 켰습니다.
급격한 고도 변화와 부상자 발생
당국은 안전벨트 경고등이 켜지고 8초 후 중력가속도(G)가 0.6초 동안 +1.35G에서 -1.5G로 감소했다가 다시 4초 만에 -1.5G에서 +1.5G로 바뀌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력가속도가 마이너스(-)일 경우 힘이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해 사람이 가벼워지거나 떠 있는 느낌을 경험하게 됩니다.
급격한 중력가속도 변화에 순간적으로 탑승자들이 천장으로 치솟았다가 바닥에 떨어지는 과정에서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당시 비행기는 4.6초 만에 고도 37,184피트(11,334미터)로 178피트(54미터) 급강하했습니다.
초기 보도와 실제 조사 결과의 차이
사고 직후 외신들은 플라이트 레이더24 등의 초기 자료를 활용해 여객기가 3분여 만에 정상 고도에서 6,000피트(1,800미터) 급강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급강하한 고도 자체는 크지 않았지만, 짧은 순간 고도가 급변하면서 부상자가 나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고 여객기의 탑승자와 피해 상황
사고 여객기에는 승객 211명과 승무원 18명이 탑승하고 있었습니다.
기내에서 영국인 1명이 사망했으며, 사인은 심장마비로 추정됩니다.
부상자는 85명으로 집계됐으며, 상당수는 두개골과 뇌, 척추를 다쳤습니다.
전날 기준 방콕에서 치료 중인 탑승자는 28명입니다.
항공기 난기류 사고의 위험성
이번 사고는 항공기 운항 중 난기류가 얼마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난기류는 예측이 어렵고, 순간적으로 발생해 큰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승객들에게는 큰 위험이 됩니다.
항공사와 승무원들은 항상 탑승자들에게 안전벨트를 착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난기류와 같은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마무리
싱가포르항공 여객기 사고는 고도 변화와 중력가속도의 급변이 얼마나 큰 충격을 줄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탑승자들의 안전을 위해 항상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비상 상황에 대비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항공사들은 안전 교육과 장비 점검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입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께서는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